안녕하십니까, 감정평가법인 감동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부동산을 거주 목적 또는 투자 목적 등으로 자세히 알고 싶어합니다.
부동산을 깊게 탐구하려면 부동산학에 대한 연구가 필수입니다.
이번에는 부동산학의 개념과 본질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부동산을 알고 싶은 사람들에게 필수! 부동산학의 개념은?
부동산학이란, 토지와 토지상에 부착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는 여러가지 항구적 토지개량물에 관하여, 그것과 관련된 직업적, 물적, 법적, 금융적 제측면을 기술하고 분석하는 학문연구의 한 분야입니다.
여기서 토지개량물이란 인공의 힘이 가미되어 토지 위에 설치된 물건입니다.
토지개량물은 토지상의 개량물과 토지에의 개량물로 나누어집니다. 토지상의 개량물은 건물이나 입목처럼 토지상에 부착된 물건을 말하며, 토지에의 개량물은 도로, 상하수도, 전선처럼 다른 곳으로부터 해당 토지구역으로 연결되어 온 물건을 말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부동산학이라고 했을 때, 흔히 주택의 매매과정, 상업용 혹은 주거용 부동산의 개발, 부동산금융이나 투자과정 등을 연구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물론 이러한 주제들도 부동산학의 중요한 연구대상입니다.
그러나 부동산학에 있어서 보다 중요한 것은 이것들이 일반시민들의 일상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는 것입니다.
부동산학은 부동산에 관련된 제문제를 분석함에 있어, 인접분야에서 개발된 원리나 방법을 도구로 많이 사용합니다.
이처럼 여러가지 원리나 방법을 적용해서 부동산에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부동산분석이라고 합니다.
부동산분석에 유용한 도구를 제공해 주는 인접분야로는 경제학, 금융학, 관리학, 마케팅, 지리학, 도시계획학 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동산학에서 중요한 분야로 취급되고 있는 부동산시장론, 부동산투자론, 부동산금융론, 부동산관리론, 부동산중개론, 부동산마케팅, 부동산개발론 등은 인접분야에서 개발된 원리를 부동산의 독특성에 적용한 것들입니다.
부동산도 과학이다? 부동산학과 과학의 관계!
부동산학은 인접분야에서 개발된 원리를 부동산분석에 적용하는 응용사회과학 또는 경영과학입니다. 특히 경제학과 금융학은 부동산학의 이론적 발달에 많은 영향을 끼첬습니다.
경제학은 제한된 자원을 다양한 상품생산에 어떻게 할당할지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금융학은 개인과 기업이 제한된 자원을 시간상으로 어떻게 할당하는가를 연구합니다.
한편 부동산학은 토지와 그 정착물과 같은 제한된 자원이 특정 또는 여러 시간대를 걸쳐 상품생산의 할당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를 연구합니다.
이 같은 관점으로 볼 때, 부동산학이 왜 역사적으로 경제학과 금융학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면서 발달해 왔는지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동산학은 경제학과 금융학과는 다른 독립분야로 취급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것은 부동산이 가지는 여러가지 독특성 때문입니다.
경제이론에서 등장하는 가격결정이나 자원배분에 관한 대부분의 내용은 부동산의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하지만 부동산만이 가지고 있는 비이동성, 이질성, 공급의 고정성, 제도적 특성, 가치추계의 어려움 등은 부동산학 나름대로의 독자적인 원리가 개발되어야 합니다.
그렇기에, 부동산학은 독립된 학문체계를 가지고 독자적인 원리를 구축해 가고 있습니다.
다음에는 부동산학의 본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정평가에 관해 궁금한 점은 감정평가법인 감동에 문의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정평가 #감정평가사 #탁상감정 #부동산감정평가 #감평사 #빌라감정평가 #단독주택감정평가 #건물감정평가 #아파트감정평가 #탁감 #공장감정평가 #상가감정평가 #토지감정평가 #감정평가법인 #부동산학